칼럼
-
한국 교회가 지역사회의 자살예방을 위해 실천할 수 있는 이유
지난 9월 10일은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이었습니다. 이날은 전 세계가 한마음 한뜻으로 생명의 소중함과 국가적·사회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고,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제정된 날입니다.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을 맞이하여, 현 시점 자살의 심각성을 통계 지표를 통해 살펴보고, 자살 예방을 위한 한국 교...
-
[이웅조 목사 칼럼]건강한 교회의 모습: 교회의 존재 목적 – 출산과 양육의 중요성
오늘날 교회들은 외적으로 성장하지만, 종종 그 본질인 교회의 존재 목적을 잃어버리기도 합니다. 교회는 단순히 더 많은 사람들을 모으는 것에 목표를 두기보다, 영적으로 새롭게 태어난 성도들을 돌보고 양육하는 사명을 중심으로 삼아야 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교회의 두 가지 중요한 존재 목적, 즉 영적 출산(개종)과 양육의 중요성에 ...
-
[이웅조 목사 칼럼]건강한 교회의 모습: 사도 바울의 목표 설정과 교훈
오늘날 교회들은 열정적으로 사역을 하지만, 분명한 목표가 없으면 그 열정이 헛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개인적으로도 분명한 목표가 없으면 방향을 잃고 헤매듯, 교회 역시 명확한 목표와 사명을 설정하지 않으면 여러 문제에 봉착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사도 바울의 가르침을 통해 교회의 명확한 목표 설정이 얼마나 중요한...
-
[주필칼럼]주님의 눈물병으로 행복한 가정 만들기
월트 디즈니에서 제작한 세 번째 신데렐라 영화인 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 “용기와 착한 마음씨를 가지고 살아라(have courage and be kind)”는 신데렐라 어머니의 마지막 유언 장면이 등장합니다. 그 후 어머니가 남긴 마지막 유언이 신데렐라의 인생을 이끌어가는 새로운 힘이 되었고, 신데렐라는 이름 뜻 그대로 “재투성...
-
국민의 영웅 소방공무원이 경험하는 정신건강 어려움에 관심을...
이상기후와 산업화로 우리 사회는 점점 더 많은 자연 재난과 인적 재난을 경험하고 있고, 재난의 규모 또한 대형화되고 있다. 소방공무원은 재난 현장에 제일 먼저 투입되어 재난의 규모를 줄이고 위험에 처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을 담당하여 국민의 영웅으로 불리운다. 그런데 매년 업무 중 순직하는 소방공무원의 수 보다...
-
제주도? 제주도!
제주에서 목회한지 오늘로 7,041일이 되었습니다. 목사의 삶을 살기로 서약하고 안수 받은 날은 이 날에서 19일을 제하면 되니, 제주 목회가 나의 목회 일생이 되어갑니다. 우리의 하루는 하나님 아버지의 은혜요 주어진 기회의 때입니다. 제주 목회도 매일이 기회요 특권입니다.제주도는 제주도(濟州島)가 아니라 제주도(濟州道)입니다. 이 차...
-
[이웅조 목사 칼럼]건강한 교회의 모습: 샤오미의 성공 이야기와 목표의 중요성
"건강한 교회의 모습" 시리즈의 첫 번째 칼럼에서는 중국의 세계적 기업 샤오미의 성공 사례를 통해 목표 설정의 중요성을 살펴보겠습니다.현대 사회에서 목표 설정의 중요성은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바로 중국의 세계적 기업 샤오미입니다. 샤오미의 성공은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꾸준히 ...
-
노화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V 자도자도 피로가 안 풀리고 뭔가 몸이 찌뿌둥한 느낌, 관절이 아프다.V 별 이유 없이 새벽잠이 줄어든다. 또는 깊은 잠을 자기 힘들다.V 고기 같은 질긴 음식 먹기가 겁난다. 또는 고기 먹고 난 다음날 뭔가 몸이 무거움을 느낀다. V 갑자기 달려야 하는 상황에서 생각처럼 속도가 안 나고 숨만 찬다.V 뱃살, 옆구리살, 팔뚝살이 삐져나오고 흐...
-
당신은 진정으로 사람을 만나고 있습니까?
정론타임즈 창간을 맞아 칼럼을 의뢰 받고, 주제를 생각하다 ‘첫 만남’’ 이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누군가를 처음 만날 때 사전 정보가 있다면 그 정보를 토대로 이러저러한 예측이나 기대를 하게 된다. 그러나 사전 정보가 있든 그렇지 않든 누군가를 처음 만날 때 우리의 뇌는 익숙한 얼굴을 만날 때와 달리 무척이나 바빠진다...
-
특수교육과 장애인 복지선교(1)
하나님의 뜻과 장애인 복지선교의 사명 김용한(안산제일교회/통합 장로) 필자는 대학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현장에서 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 및 이들의 재활 자립을 지원하는 교감, 교장으로 38년간 근무한 후, 3년 전 정년퇴임을 하였다. 그동안 특수교육 현장에서 만난 많은 장애인 제자들과 장애 자녀 때문에 힘들어하는 부모들...